본문 바로가기
투자에 대한 생각(Investment Insight)

임원 퇴직금 지급 기준?

by 고양이 세수 2021. 6. 27.
728x90
반응형

일반 회사뿐만 아니라 부동산 개발을 위해 설립된 시행사라 하더라도
주요 의사결정을 하는 임원의 입사/퇴사에 따라 수반되는 사항이 많다.

그 '수반'되는 여러 사항들 중 정확히 알지 못하던 '임원 퇴직금'에 대해서 기록해 보기로 한다.
(문제의식이 생긴 후, 새롭게 인지하게 된 사항에 대해 기술한 터라 참고만 부탁드린다.)
ps. 전문가 또는 경험이 있는 방문자 분들께서 정확한 내용을 정정해 주신다면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요약 : 임원의 퇴직금은 위로금의 성격으로
1. 회사의 정관 등에서 정한 규정이 있다면 그 내용에 따름
2. 정관 등에서 규정한 사항이 없다면 주주총회 의결 내용에 따름
- 위 사항은 우선순위이며, 상법상 강제규정이므로 상기 내용에 확정된 사항에 대해 퇴직한 임원이 소송을 청구하더라도 번복할 수 없음(대법원, 77다1742, 1977. 11. 22.)

1. 쪼개어 보기
(1) '임원' =?
- 먼저 임원의 사전적인 의미는 검색하면 잘 나오는데, 퇴직금과 연계하여 중요한 점은
근로자가 아니라는 점.
- 상법 408조의 2에서 임원은 임원 설치회사의 권한을 위임받은 자로 민법상 위임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즉, 회사와 근로자의 관계(고용인 피고용인)가 아닌 위임 관계로 정의되고 있음. 이에 따라 노동법 적용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 큰 차이점이다.

(자문) 그렇다면... 임원은 근로자가 아니고, 회사의 위임자 자격이었군!!
(이 점은 회사에서 보통 계약직이니, 임시직원=임원이니, 하는 말들로 어느 정도 납득이 되었는데)
(자문) 그러면 퇴직금은 뭘까...?

(2) '퇴직금' =?
- 퇴직금도 사전적인 의미를 검색하면 잘 나오는데, 중요한 점은
임원의 퇴직금은 근로자의 퇴직금이 아닌 법적으로 '위로금'의 성격이다.
- 쉽게 의역하자면, 지급 의무가 있는 근로자의 퇴직금과는 성격이 다르다는 것!

여기까지 정리한 바로 판단해보면,
금액, 지급방법, 지급시기 등등 모든 임원의 퇴직 위로금 지급은 '정관'과 '주주총회' 의결 내용으로 결정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회사를 운영하는 업무에 초보자로서 하나하나 체크할 것이 정말 많다.
이렇게 기록해 가며 업데이트 해 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됨...

이상. 저의 포스팅을 마치며,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